popup zone

About us

범죄과학전공은 범죄에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로부터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내어 범죄정책 변화의 양상을 모색하는 전문가인 Crime Date Scientist를 양성하는 전공이다. 범죄과학전공은 사회안전 관련 대량의 데이터를 구조화하여 분석하고, 범죄와 관련한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범죄발생 위험이 높은 장소와 시간, 범죄 위치와 유형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범죄데이타분석전문가를 양성하는 학문으로, 한국에서 2016년 경찰사법대학에 최초로 개설되었다.

Vision

Crime Data Science에 관한 기술적인 부분 및 빅데이터 시장의 폭발적으로 증가에 따라 Crime Data Scientist의 역할 비중도 늘어나고 있다. 사회적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범죄과학전공은 범죄정책에 적합한 데이터를 토대로 범죄대책전략을 설계하고, 범죄정책의 평가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양성을 비젼으로 설정하고 있다.

Mission

  • Crime Data Science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 양성
  •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으로 범죄정책의 변화를 이끌어 나갈 인재 양성
  • 우리나라 1세대 Crime Data Scientist 확립과 구축
  • 범죄과학 기술에 대한 전문적이고 창조적인 마인드의 인재 배양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원리 학습으로 의미 있는 Crime Data 해석능력 강화
  • Crime Data Science를 통해 범죄정보의 과학적 활용 및 범죄예방 전략 수립

교과목 해설

피해자학 | Victimology | 전공기초
피해자학의 발흥, 피해자의 책임, 범죄발생에서 피해자의 방어, 피해자의 형사사법제도, 피해자보상제도 등을 연구한다.
This course deals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victims and offenders, the interactions between victims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 that is, the police and courts, and corrections officials ? and the connections between victims and other social groups and institutions, such as the media, businesses, and social movements.
청소년비행론 | Theory of Juvenile Delinquency | 전공기초
현대 산업사회의 발달과 그로 인한 사회의 해체과정 속에서 소년범죄의 증가현상 및 죄질의 정도 등에 관한 전문적 이해를 도모하고 소년보호, 선도 및 교정에 중점을 두어 소년비행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This class studies the phenomena, causes and appropriate measures of juvenile delinquency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선형대수 | Linear Algebra | 전공기초
이 교과목은 벡터공간 및 내적공간, 행렬이론, 고유 벡터, 행렬의 대각화 등 선형대수학의 기초를 학습하고,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선형대수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본다.
The concepts of linear algebra are extremely useful in various disciplines. This course studies about the vector space, inner product space, matrix theory, eigenvector, etc..
미∙적분 | Calculus | 전공기초
이 교과목은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는 미적분의 분야 중 실수, 함수, 극한과 연속성, 정적분, 초월함수의 미분과 적분, 극좌표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수학에 대한 기본원리를 학습한다.
The Calculus is the basis of the natural sciences. This course covers the real, integer, limit, definite integral, integro-differential equations, etc..
사회심리학 | Social Psychology | 전공기초
사회심리학은 2인 이상이 모인 사회적 환경에서 일어나는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대인지각, 사회적 동기와 학습, 태도와 태도변화, 설득, 집단의 역동성, 친사회적 행동, 반사회적 행동, 사회와 문화의 영향 등에 초점을 맞춘다.
Social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study of how people’s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 actual, imagined or implied presence of others. Topics include social perception, self,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social motivation and affect, group dynamics, prosocial behavior, antisocial behavior, and culture.
인간행동의 이해 |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 전공기초
심리학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하는 과목이다. 인간행동에 대한 기초와 감각과 지각, 학습, 기억, 사고, 발달 등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방법에 대한 소개를 하면서 심리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This course will give an overall introduction to psychology. It will cover the basic mechanism of human behavior and mental process. Additionally, it will introduce human beings’ perception, learning, memory, thinking, and development, etc. And It will help you to understand psychology by introducing research methods.
범죄데이터 분석기초 | Introduction to Crime Data Analysis | 전공기초
이 교과목은 범죄데이터의 기초분석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의 이해, 통계분석의 개념, 데이터 가공 등 범죄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초적인 방법론 및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ourse provides an introduction to basic techniques and methodologies to analyze crime data. This course studies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the crime data analysis, the concept of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processing.
범죄심리학 | Criminal Psychology | 전공기초
비행동기에 관한 각종이론, 범죄자의 심리, 검사, 범죄자 행동유형에 관한 고전 및 현대이론의 사례연구, 정신분석학의 도입, 사회학습이론에서 본 공격성의 메커니즘, 비행잠재성의 예측 등 범죄심리 분야의 전반에 걸쳐 학습한다.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area of psychology and law research on forensic psychology. Contents are as follows. The accuracy of witness statements, polygraph, hypnosis, criminal justice system responsibility and mental disorders, psychology in trials, sentencing, and overall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공식범죄통계이해 | Understanding of Official Crime Statistics | 전공기초
이 교과목은 범죄예방 정책의 수립 및 범죄수사, 범죄 분석의 기초자료가 되는 경찰, 검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등의 공식범죄통계자료의 특성 및 활용방안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ours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official crime statistics, which is the basis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s, crime analysis, and crime prevention policies.
범죄데이터베이스 | Crime Database | 전공전문
이 교과목은 범죄분석의 중요 자료가 되는 다양한 범죄데이터베이스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기초적인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범죄데이터베이스의 기초 개념,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설계 기법 등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ours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criminal databases which are important materials of the criminal analysis, and aims to develop the basic knowledge that you can handle it. This course studies the basic concepts of the criminal database, modeling, database design techniques.
범죄데이터 분석고급 | Advanced Crime Data Analysis | 전공전문
이 교과목은 범죄데이터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고급 분석기법을 통해 범죄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범죄데이터마이닝 기법에 대해 학습한다.
This course aims to develop advanced analytical capabilities of crime data. This course provides the various data mining techniques.
사물인터넷과 범죄 | IoT and Crime | 전공전문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 상의 범죄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해당 범죄의 특성을 분석하여 예방 대책에 대해 연구한다.
This class studies about cyber-crime and internet of things crime for prevention and polic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yber-crime and internet of things crime.
형사사법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 in Criminal Justice | 전공전문
형사사법에 관한 문제의 발견, 이론의 해석적용, 실험과 표본추출, 관찰방법, 자료의 분석 및 기술, 연구의 평가방법 등을 습득시킴으로서 형사사법학에 대한 올바른 연구방법을 주지시켜 문제를 보는 올바른 시각과 해결방법을 모색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criminal justice research. Therefore, it covers basic concepts, problems, and policies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ith research methods.
법심리학 | Introduction to Forensic Psychology| 전공전문
법심리학 수업에서는 범죄 수사, 재판, 교정 등 형사사법절차 전반에서 인간 행동과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목격자 기억, 수사면담, 허위자백, 거짓탐지, 재판과 의사결정, 양형, 범죄 위험성 평가 등 법적 장면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심리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들을 통해서 실무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up-to-date discussion of contemporary debates at the interface between psychology and criminal law. The topics include critiques of eyewitness testimony, deception detection, investigative interview, judicial decision-making, sentencing as a human process, the psychologist as expert witness, persuasion in the courtroom, and psychology and the police.
진술분석과 소셜컴퓨팅 | Statement Analysis and Social Computing | 전공기초
본 교과목은 인터넷 소셜 소프트웨어에 나타난 다양한 진술을 분석하여 보다 과학적인 진술 의도 추론 방법론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apply statement analysis principles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to social computing text databases using coding programs such as Python.
범죄지도 | Crime Mapping | 전공전문
범죄가 발생한 지역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를 분석하여 범죄 지도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이고 집중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This class studies the way to make crime map by analysis the data about lo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rime occurred. And based on crime map, it provides a method for the effective and intensive crime prevention.
형사사법 연구설계법 | Research Design in Criminal Justice | 전공전문
형사사법 학문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도록 ‘연구를 계획하고 구조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학습한다. 특히, 경험과학을 표방하는 형사사법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즉, 관찰법, 조사법, 실험법 등)의 원리, 장점 및 제한점을 학습한다.
This course will introduction to ‘Planning and structuring research’. Through understanding this course, students will study the way to obtain answers to various research questions observed in criminal justice studies. In particular, the principle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various method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i.e., observation methods, investigation methods, experimental methods, etc.) will be learned in criminal law advocating empirical science.
빅데이터와 범죄 | Big data and crime | 전공전문
범죄 분석을 통한 범죄 예방을 위해 범죄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에서부터 만들어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범죄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This class provides the way from how to make big data to how to use big data for analysis the crime and crime prevention.
기계학습 기반 범죄예측 | prediction of criminal recidivism by utilizing a machine learning | 전공전문
범죄 데이터를 활용하여 범죄의 패턴을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을 계발하기 위해 기계의 예측,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This class aims to study about analyze patterns of crime and techniques for effective crime prevention by prediction system and analysis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