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guk University
교정학전공은 형사사법학의 주요한 연구 분야로써 범죄자의 교정교화와 사회복귀를 도모하기 위한 과학적 교정처우의 이론과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는 학문이다. 학문의 성격상 형사사법학, 법학, 사회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교육학 등 인접한 사회과학 분야와의 다학제적 연구를 통해서 당연한 범죄문제의 해결에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면서 급속도록 발전하고 있다. 학문적 특수성과 전문성, 교정분야의 향후 인력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장래가 매우 유망한 전공이다.
경찰사법대학 교정학전공은 교정학 지식 및 실무 교과목 이외에도 법집행기관에 근무하는데 필요한 법률교육을 보다 강화하여 법무부 중견간부를 보다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것을 비젼으로 삼고 있다.
교정학 | Introduction to Correction | 전공기초 | ||
---|---|---|
범죄자의 처리라는 관점에서 범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형사정책의 마지막 단계로서 교정에 대한 이해와 기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음. | ||
This class studies the concept of correction administration, comparative analysis among foreign countrie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n correction systems. | ||
헌법 | Constitutional Law | 전공기초 | ||
이 교과목은 국민의 기본권보장과 통치 구조를 규정하는 국가의 기본법인 헌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헌법의 개념, 분류, 제정과 개정, 헌법의 수호 등의 헌법 일반과 대한민국 헌법의 역사, 기본원리, 기본제도와 기본질서를 내용으로 하는 현행 헌법의 총강과 기본권을 그 내용으로 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constitutional law which concerns some of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our government and our society. | ||
사이버비행과 교정처우 | Cyber Delinquency and Corrections | 전공기초 | ||
이 교과목은 교정학의 주요 연구 분야로써 범죄자의 교정교화와 사회복귀를 도모하기 위한 과학적 교정처우의 이론과 이와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understanding correctional programs which can help prisoner to rehabilitate, such as education, training, counselling. | ||
소년사법과보호 | Juvenile delinquency and correction | 전공기초 | ||
이 교과목은 소년범죄자의 교화와 성인 범죄자로의 성장가능성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소년사법제도의 철학적 기초를 살피고 이들의 수용처우와 소년사법의 쟁점 등을 연구하고 검토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the juvenile delinquency and corrections by tracing the evolution of juvenile corrections and hot issues regarding the juvenile delinquency. | ||
이상심리학 | Abnormal Psychology | 전공기초 | ||
이 교과목은 경찰행정법, 소방행정법, 행정조직법등의 개별 행정법에 대한 이해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special administrative law , which consists of various law. | ||
전자감독제도론(캡스톤디자인) | Electronic Monitoring (Capstone Design) | 전공전문 | ||
이 교과목은 공공의 안녕을 위태롭게 하지 않으면서 범죄자의 책임을 지원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의 범죄행위를 예방하는 상호 연관된 프로그램인 자역사회 교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the community-based corrections which can make benefits to both society and citizens. | ||
분류심사론 | Classification in prisons | 전공전문 | ||
이 교과목은 성공적인 수형자 분류를 통해 교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류와 누진, 분류심사의 기초, 분류의 접근방식 등을 세부적으로 논의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classification in prisons to solve numerous problems related to prisoner. | ||
범죄자 위험성 평가 | Criminal Risk Assessment | 전공전문 | ||
범죄자의 재범에 영향을 주는 정적, 역동적 위험 요인들을 이해하고, 재범위험성을 평가하는 과학적 방법론 및 각종 위험성 평가 도구에 대해서 살펴보고 법적 장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In this course static and dynamic risk factors of recidivism will be reviewed from the scientific risk assessment perspective. Various risk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will be reviewed to help students apply in the forensic settings. | ||
교정복지와상담 | Counselling in prisons | 전공전문 | ||
이 교과목은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서 운용되고 있는 시설 내 기법들의 내용을 살펴보고 외국에서 운영되는 교정전문기법들의 도입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This class focuses on the counselling in prisons. To improve counselling methods in Korea, we will look at foreign system and discuss whether it is suitable to Korea or not. | ||
교정보호관련법 | Correctional Control Law | 전공전문 | ||
형법의 기본개념과 기초이론을 비롯하여 행위론, 구성요건론, 위법성론, 책임론, 미수론, 정범 및 공범론, 형벌론, 죄수론에 관해 학습하며, 나아가 형사소송실무 과정에서 법률의 중요한 재판결정과 분석을 이해하도록 강의한다. | ||
This subject deals with basic concepts and theories, such as definition of criminal law, principle of legality etc., and theories of criminal act, definition of offence, criminal illegality, culpability, attempt, the principal offence & complicity, criminal sanction, award of punishment and concurrence. | ||
형법 | Criminal Law | 공통인정 | ||
형법의 기본개념과 기초이론을 비롯하여 행위론, 구성요건론, 위법성론, 책임론, 미수론, 정범 및 공범론, 형벌 론, 죄수론에 관해 학습하며, 나아가 형사소송실무 과정에서 법률의 중요한 재판결정과 분석을 이해하도록 강의한다. |
||
This subject deals with basic concepts and theories, such as definition of criminal law, principle of legality etc., and theories of criminal act, definition of offence, criminal illegality, culpability, attempt, the principal offence & complicity, criminal sanction, award of punishment and concurrence. | ||
형소법 | Criminal Procedure | 공통인정 | ||
이 교과목은 형사소송의 각 단계에서 국가형벌권의 정당한 행사를 위한 헌법적, 형사소송법적 절차와 소송주체의 권리, 의무에 대한 이해의 증진을 목표로 한다. | ||
This course aim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constitutional, legal process, criminal proceedings and proceedings for the legitimate exercise of national authority of punishment subject at each stage of the criminal proceedings. |